MY MENU

이용후기

제목

파파야 재배 난방은 어떻게 하나요? 하나.

작성자
art
작성일
2009.09.29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2228
내용
공장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
1. 공장열을 이용한 난방 시스템이 사실 어떤 원리인지 잘 모르겠거든요,
좀, 자세히 설명해 주시겠어요?

답. 우리지역에 소재한 금호타이어곡성공장이 있습니다.
공장에서 보일러를 연중무휴 가동하는데 보일러 굴뚝으로 배출되는 열이 낮게는 120℃에서 높게는 200℃정도 됩니다.
굴뚝으로 배출되는 열을 차단하여 온수로 전환하는 열회수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65℃이상의 온수로 만들어 온수저장탱크를 거쳐 시설하우스까지 온수이송 관을 통하여 시설하우스 안으로 순환시켜 방열 휀을 이용 난방 하는 원리입니다.

2. 공장열을 이용해서 시설하우스 난방을 시도한건 곡성군이 국내에서 처음이죠?

답. 그렇습니다. 쓰레기 소각 열을 이용하여 난방하고 있는 곳은 여러 곳이 있습니다만 우리 군과 같이 굴뚝으로 배출되는 열을 이용한 시설은 국내나 외국에서 도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3. 어떻게 해서 이런 난방 시스템을 개발하게 된 건가요?

답. WTO협상이후 농산물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겨울철 시설작물 재배하는 경영비의 30~40%를 차지하는 난방비를 절감코자 공장에서 버려지는 열을 시설하우스 난방에 활용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 2001년 1월 우리군의 주관 하에 대체에너지를 연구하는 YJ에너지환경. 금호타이어곡성공장, 전남과학대학과 연구팀을 구성 당시 농림부 벤처형 중소기업 개발과제에 응모 선정되어 공장열을 이용한 난방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습니다.

4. 현재 농가에서 이 난방시스템을 활용하고 있습니까?

답. 농가에 열을 공급할 수 있는 기반시설이 완료되어 지난 5월26일 준공행사를 가졌습니다.
금년부터 열활용을 실증하기 위한 1ha규모의 현대화비닐하우스 시설비를 지원하여 현재 장미와 열대과일인 파파야를 식재 재배관리하고 있습니다만, 현재는 주간과 야간 온도가 높기 때문에 하우스난방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앞으로 온도가 내려가는 가을부터 하우스 내 작물생육적온 이하로 내려갈 경우 난방시설을 활용할 계획입니다.

5. 시설하우스 난방 시스템으로 기대할 수 있는 난방비 절감 효과는 어느 정도나 될 것으로 예상되나요?

답. 겨울철 시설작물의 난방비는 작물에 따라 차가 있으나 고온성 작물인 파프리카나 장미의 경우 1ha당 1억원 이상 난방비가 소요됩니다.
우리군이 설치한 시스템은 고유가 시대에 획기적으로 난방비를 절감하여 농가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게 될 것입니다.

6. 그런데 공장열이다 보니까 조금 걱정되는 면이 있는데 식물이나 과일재배에 지장은 없는 겁니까?

답. 앞에서도 말씀 드렸습니다만, 공장열을 직접사용 하는 것이 아니고 열을 회수하여 온수로 전환하는 시스템이 금호타이어공장에 설치되어있습니다. 폐열에 의해 데워진 온수를 하우스에 순환시키므로 작물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굴뚝으로 배출되는 분진 량이 크게 낮아지고 하우스에 난방온풍기를 가동하지 않음에 따라 대기오염방지에도 기여하게 됩니다.

7. 시설하우스 경영비의 35%가 겨울철 난방비라는 말은 들었는데 국제유가가 연일 최고치를 기록하는 요즘, 버려지는 공장열 난방이 새로운 대체에너지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끝으로 농가소득 향상과 대체에너지 개발 등을 위해 곡성군이 갖고 있는 계획이 있다면 말씀해 주시죠.

답. 공장열을 농가가 이용할 수 있는 난방시설이 완료되었으므로 금년 가을부터 시설하우스 이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장기적으로 활용 성과에 따라 금호타이어 곡성공장과 협의하여 추가시설도 검토할 계획입니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